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8

[RN 0.67] RN과 ejabberd서버 간 XMPP 통신하기 리액트에서 채팅을 구현하려고 공부를 하면서 채팅 통신에 WebSocket / XMPP 방식 중 하나를 결정해서 쓰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Pooling, Long-Pooling, Streaming은 옛날 방식인 것 같다) https://medium.com/@thinkwik/web-sockets-vs-xmpp-which-is-better-for-chat-application-113e3520b32 위 블로그 글을 읽으면서 '보안'의 요소 때문에라도 XMPP를 써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XMPP서버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 중에서 필자는 ejabberd를 선택하였다. 해당 서버를 선택한 이유는 그냥 전체적으로 사이트가 깔끔하고, 설명이 많은 것 같아서? 선택하게 되었다. 뭔가 폴트 톨러런스, 스케.. 2022. 4. 2.
[React-Native 0.67] useEffect() 사용 - in function, in classcomponent 리액트는 버전별로 사용법이 달라서 공홈을 살펴보는 게 제일 좋다. https://reactjs.org/docs/hooks-effect.html Using the Effect Hook –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reactjs.org # function에서 useEffect()를 사용하는 방법 import React, {useEffect} from 'react'; function APP({navigation}) { useEffect(() => { navigation.getParent().setOptions({ tabBarStyle: { display: "none" }, }); }, []); } 일반적으로 function에서 useE.. 2022. 3. 13.
[스트리밍] MPEG-DASH와 MSE(MediaSource Extensions)에 관하여 - 3 이번 시간에는 MediaSource Extension이라고 하는 기술을 이용해 MPEG-DASH 표준을 따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알아야 할 사전 지식을 공부하고자 한다. # dash와 hls의 유사점 결국엔 dash든 hls든 영상을 쪼갠다는 점은 동일하다. 다만, 어떻게 영상을 쪼개는지, 쪼개진 영상이 어떤 방식으로 준비되어야 하는지, 영상/음성 인코딩이 무엇인지에 따라 방식이 달라지게 된다. # dash를 선택한 이유 일단 프로젝트를 하면서 최대한 써드파티 라이브러리 사용은 자제하자. 즉, 최대한 Low 하게 구현해보자를 목표로 삼게 되었다. 엄청 자세하게 알아본 건 아니지만, dash를 이용할 수 있는 built-in API가 바로 MSE였다. 나와있는 dash.js, jwpla.. 2022. 3. 4.
[스트리밍] Adaptive HTTP Streaming 이란 - 2 RTSP/RTMP 프로토콜 방식이나, 영상을 전체 다 다운받아야 재생이 되는 방식도 존재하지만, 지난 시간에는 간단하게 영상을 다운받으면서 재생할 수 있는 2가지 방식에 대해 개략적으로 공부하였다. 이번 시간에는 Adaptive HTTP Streaming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공부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 Why Adaptive HTTP Streaming? '왜 Adaptive HTTP Streaming를 사용하는가'를 먼저 알아보고자 한다. 예전에는 브라우저에서 동영상을 재생시켜주는 기능이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제는 사라져 버린 Adobe Flash Player, MS Silverlight 등의 외부 플러그인을 이용해서 동영상을 재생시켰다. 그런데 HTML5가 탄생하면서 라는 태그가 생성되었.. 2022. 3. 4.
반응형